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핫이슈4

큰 추위 대한(大寒) 대한 (大寒) 24절기 가운데 24번째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인 대한(大寒)은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 있으며 한 해 매듭을 짓는 절기이다. 양력 1월 20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아직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黃經)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으로 갈수록 추워진다. 소한 지나 대한이 일년 가운데 가장 춥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중국의 기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무렵이 최고로 춥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처럼 대한이 소한보다 오히려 덜 춥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에서는 소한 다음으로 가장 매서운 한파가 오는 시기로,.. 2024. 1. 3.
작은 추위 소한(小寒) 소한(小寒) 소한(小寒)은 24 절기 중 23번째 절기로 작은 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24 절기 절기 중 동지가 해가 가장 짧은 날이라면, 소한은 해가 가장 늦게 뜨는 날로 알려져 있으며, 대략 양력 1월 5일경으로,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소한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처음 나타나는 절기이며, 태양이 황경(黃經) 28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중국의 황하 유역을 기준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와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중국 화북 지방에서 대한 다음으로 추운 때라 하여 소한이라 이름 붙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절기상 대한(大寒)이 소한보다 추워야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무렵이 더 추운 경우도 종종 있다. 옛날에는 농가에서 입춘 전까지 혹한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는 풍습이 있었다. .. 2024. 1. 2.
변화하는 지구; 기후변화 기후변화 기후란, 대기의 평균 상태를 말하는데 특정 장소에서 매년 반복되는 종합적인 대기의 상태를 말합니다.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은 에너지는 구름이나 바람, 화산성이나 인간 활동에 의한 에어로졸(공기 중에 부유하는 고체나 액체의 입자), 눈과 얼음, 해류 등에 의해 계속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최근 30년 사이의 평균값으로 현재 기후의 기준을 정합니다. 기후변화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기후 패턴이 중기적 혹은 단기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기후 변화의 대표적인 자연적 요인으로는 태양 활동의 영향이나 지구의 공전 궤도의 변화, 화산 분화로 인한 에어로졸 증가 등이 있습니다. 태양 활동과 지구의 공전 궤도가 변화하게 되면 대기 상단에서 받는 태양의 방사량에 변화.. 2023. 5. 11.
복어 독; 테트로도톡신 복어 독; 테트로도톡신 테트로도톡신은 주로 참복과나 망둑엇과의 어류, 문어, 고둥 등 친수성 생물이 가지고 있는 생물 독입니다. 청산가리보다 5배에서 13배에 달하는 맹독으로 신경독에 속합니다. 운동신경의 나트륨 통로를 차단하여 수의근을 정지시킵니다. 처음에는 목덜미가 뻐근한 정도에서 종국에는 온몸에 마비가 오고 횡격막 및 늑간근의 활동을 멈추어 질식사하게 됩니다. 운동신경근에만 작용하므로 질식사의 고통을 생생히 느끼게 되며 정신활동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테트로도톡신의 특성을 이용하여 류머티즘이나 관절통, 신경통에 적용하는 의약품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테트로도톡신에 중독되었다면 빠른 이송과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며 기관삽관을 통해 질식을 방지한 후 독이 신장을 통해 몸 밖으로 배.. 2023. 2. 13.
반응형